본문 바로가기

반려묘 행동 분석

로테이션(Rotation) 시스템을 활용하여 다묘환경 속 스트레스 없애기

 

 

 1. Introduction

 

최근 시장 리서치 기관 입소스(Ipsos)의 연구조사 결과 반려동물 양육 가구당 반려견은 평균 1.3마리, 반려묘는 1.7마리를 기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펫 사료 브랜드 ‘로얄캐닌’이 의뢰해 실시한 ‘반려동물 현황 및 건강 관련 인식 조사’ 결과). 이는 2마리 이상 키우는 다견·다묘 가정 비율이 4년 전보다 각각 28%, 45% 증가한 것으로 한 가정에 두 마리 이상의 반려묘를 키우는 집이 많아진 특징을 알 수 있다. 또한, 한 연구에서는 외동 묘보다 다묘 가정의 고양이가 생물학적 스트레스의 지표가 전반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호자들이 한 마리 이상의 고양이를 데려오는 것의 이점을 인식함에 따라 최근에 다묘 가정이 많아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Ramos et. al 2004; Crowell-Davis et. al 2004).

 

이에, 다묘 환경 시 공동생활을 즐겁게 영위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것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예를 들어, 영역 다툼의 요소를 잘 조절해 준다거나, 서로 소통을 잘할 수 있는 기술을 길러주거나, 공격 가능성을 최소화하는 구조를 설계하는 등. 반려동물의 행동을 분석하고 연구하는 저널을 출판하는 동물행동상담가협회(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nimal Behavior Consultants: IAABC)에서는 유기묘 보호 활동가이자 행동 분석가인 Kathryn Weil의 로테이션(Rotation) 시스템을 활용한 다묘 환경 속 반려묘들의 스트레스 최소화하는 방법을 저널에 출판했다. 로테이션 시스템(고양이의 활용 공간을 분리시켜주는 방법)은, 고양이 영역을 공유하는 방식, 즉 서로 활동하는 시간, 장소, 상대를 파악하여 이를 이해함으로써, 고양이 사이의 공격 가능성을 최소화해주며, 각각의 고양이들이 먹이활동 및 휴식을 최적화시켜줌으로써 평화로운 공동생활을 할 수 있게 공간을 설계하는 방법을 알려준다. 오늘은 로테이션 시스템으로 어떻게 동거묘 사이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공동생활을 부드럽게 유도할 수 있는지 알아본다.

 

 

 

 

 2. 로테이션 시스템 단계별 가이드

 

먼저, Kathryn Weil은 로테이션 시스템을 고양이들이 공동 생활 간 갈등을 줄이는데 효과적이며, 괴롭힘을 당하거나 소외되는 고양이가 생가지 않도록 하는데도 적합하고, 또한, 한 공간을 여러 고양이가 공유하기에 좋은 방법이라고 소개한다. 그녀에 따르면 여러 마리의 반려묘를 한 집에서 반려하는 집사들이 꼭 알아야 할 사실은 아무리 한 집에 살아도 고양이는 각각의 개인 공간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그렇기 때문에 고양이들에게 개인 공간과 공공공간을 마련해줌으로써(로테이션 등을 활용) 고양이의 욕구를 충족시켜준다고 생각한다.

 

로테이션 시스템은 반려묘들을 그룹으로 나눈 후 가장 효과적인 그룹끼리 공간을 공유하도록 설계해주는 것이다. 개인 공간에서 휴식을 취할 방해받지 않는 공간들을 따로 마련해주는 것으로, 쉽게 예를 들자면, 부모가 자신의 아들 딸이 프라이버시를 침해받지 않는 방을 하나씩 마련해주는 것과 비슷한 이치이다. 로테이션에 필요한 3가지로 Kathryn Weil은 인내심, 간식, 그리고 웹캠으로 꼽았으며 장점으로는 아주 저렴한 비용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논문에 저서했다. 로테이션 시스템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살펴보자.

 

1단계: 고양이 개별적 성향을 파악한다. 각각의 고양이가 상대방에게 어떻게 표현하고 행동하는지 파악해야 한다. 예를 들어, 서로에게 어떻게 반응하는지, 누가 누구를 공격 대상으로 생각하고 공격하는지 등을 관찰한다. 또한, 집사에 대하는 태도나 어떻게 행동하는지 상호작용하는 방식도 관찰해두어야 한다. 이런 관찰 결과를 토대로 가장 공격적인 고양이를 선별하고 다음 그 고양이의 관찰에 들어간다.

 

2단계: 가장 공격적인 고양이는 다묘가정에서 불화를 키우거나 사이를 서로 안 좋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에, 그룹을 A(공격성을 지닌)와 B(그렇지 않은)로 나누어 A그룹을 다른 공간으로 분리했을 때 상황을 관찰한다. 이때 주의할 점은, 공격적인 성향을 가진 고양이를 분리 시 처벌로 인식되지 않게 최대한 배려를 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잠시의 분리는 처벌이 아닌 공동생활에 어떻게 행동하는 것이 더 이득인지 고양이 스스로 느낄 수 있도록 인지시켜주는 것이 중요하다.

 

3단계: 작은 방, 베란다, 창고 등 프라이버시를 제공할 수 있는 공간에 그룹 A의 고양이의 개인 공간을 만들어주고 격리시킨 후 웹캠을 통해 각각 그룹의 고양이들이 새로운 공간에서 하는 행동을 관찰한다. 참고로, 만약 격리 시에 적당한 격리 공간이 없다면 임시 격리장이나 상자들을 활용해 시험해 볼 수 도 있다. 먼저, A그룹의 고양이 행동이 어떻게 변하는지 유심히 관찰해본다. 공간을 분리하고 다른 고양이가 없는 상태에서 어떻게 행동하고 어떻게 생활하는지 관찰해보자. 예를 들어, 그룹A의 고양이가 다른 고양이와 같은 공간을 공유하며 지낼 때와 분리했을 때 타 고양이들의 생활 패턴이나 행동에 차이가 있는지 뿐만 아니라, 개인 공간에서 생활할 때나 평소 친밀한 고양이와 함께 지낼 때 혹여 놓치고 지나간 문제 행동이 없는지를 관찰해보고 기록해보자.

 

 

로테이션에 적합한 방 혹은 공간이 없다면 이런 큰 격리장을 고려해볼 수 있다(large cat enclosure).

 

 

4단계: 따로 격리하지 않은 고양이에게 나타나는 변화를 체크한다. A그룹의 고양이 격리 후 B그룹의 고양이가 이전 같이 사용하던 공간을 어떻게 사용하고, 탐색하고, 장난감이나 놀이에 더 긍정적으로 반응하는지, 혹은 동일하게 행동하는지 등을 파악한다. 만약 예상과는 반대로 A그룹의 고양이가 격리됨으로써 B그룹의 고양이가 많이 불안해하고 힘들어한다면 그때는 로테이션이 좋은 방법이 아니며 다시 공간을 공유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좋다.

 

5단계: 그룹A와 그룹B에 속해있는 고양이들을 관찰 결과에 의해 가장 적합해 보이는 구성으로 그룹원을 바꿔준 후 변화와 행동을 다시 관찰하고 기록한다. 이는 한 공간에 어떤 구성원들끼리 지내는 것이 불화를 최소화하고 효과적인 생활을 할 수 있는지 측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6단계: 만약 최적의 그룹 구성원이 나왔다면, 이제 적당한 로테이션 및 분리해 둘 시간, 그리고 모두가 같은 공간을 공유할 수 있도록 허가할 시간 등을 정한다. 이는 상황에 맞춰 수행할 수 있는 집사의 몫으로 하루 중 일부만 혹은 전체를 나누어 분리시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평소에 집사가 집에 같이 있는 시간에는 비교적 평화롭게 집안 환경(공간, 물건, 사료, 장난감 등)을 잘 공유한다면 집사가 외출해서 부재시만 별도의 공간으로 로테이션하고 평소에는 모두 자유롭게 공간을 사용하게 계획을 세운다던가, 아니면 고양이 사이에 싸움이나 갈등이 있을 때만 잠시 로테이션시킨다던가, 잠을 자는 시간과 활동 시간만 로테이션시킨다던가 하는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 추후 고양이들이 적응이 되었을 시 시간을 줄이거나 늘리거나 집사의 관찰 결과에 따라 조절해주면서 지속하면 된다.

 

 

 

 

 3. 로테이션 시 주의해야할 점 및 해결방안

 

로테이션의 시행 시 격리된 고양이가 상대적으로 자유롭지 못함을 느끼고 스트레스를 받거나 힘들어할 수 있다. 그러므로 초기에는 로테이션을 아주 짧은 시간 동안만 유지하며, 격리된 공간에서 활동성이 떨어지는 모습이 웹캠으로 관찰 시 공동공간으로 잠시 내보내 주는 등의 방법으로 조절해주어야 한다. 다시 한번 주의할 점은, 고양이가 개인 공간이 감옥이나 처벌에 의한 것이 아닌 자신만의 공간으로 인식하게 해주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친밀한 고양이 사이에도 개인의 공간이 필요하므로 개인만 사용하는 방석이나 상자 등을 마련해주어 그룹 사이에서도 개인 공간을 설계해두는 것도 필요하다.

 

 

 

 

 4. 로테이션 시 집사의 미안한 마음 극복하기

 

간혹, 집사들은 공격적인 고양이를 따로 떼어두거나 문 앞에서 울부짖는 소리를 들어야 할 때 정서적인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이때 상기할 점은, 다른 모든 고양이가 진정 정서적으로 필요한 양육을 받고 있는지, 혹은 자신의 미안함에 다른 고양이들의 행복과 복지에 위해를 가하는 것은 아닌지 객관적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앞서 이야기한 부모가 아들, 딸의 한 공간을 마련해주는 것이 가족 구성원의 행복감을 증대시키듯 고양이에게도 그런 공간이 필요하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또한, 공격적인 고양이를 떼어둠으로써 그 고양이에게 “너는 문제가 있다”라고 느끼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힘들 수 있다. 하지만, Kathryn Weil은 로테이션 후 고양이들이 보인 긍정적인 변화, 예를 들어, 사이가 안 좋은 동거 묘간 싸우는 경험이 줄어들거나, 평화롭게 공간을 공유하고 지내는 기억이 늘어나면서 다시 우호적인 관계로 변화했다거나, 로테이션함으로써 마주치거나 같이 있고 싶지 않은 동거묘와 스트레스받으며 한 공간에 있지 않아도 되어 더욱 심리적인 안정감과 편암함을 느낀 고양이가 있다는 점을 들어 로테이션이 한 고양이에게 문제 있다는 낙인만 찍는 것이 아님을 충분히 설명한다.

 

 

 

 

 5. 이 글을 끝마치며...

 

보호소에서는 친하게 지내는 고양이의 동반 입양이나 형제 입양을 많이 추천하는 추세이며, 실제로 둘 이상의 고양이를 반려하는 집에서 영역 싸움이 없이 평화롭고 사이좋게 잘 지내는 모습을 보는 것은 전혀 이상하지 않다. 실제로, 많은 가정에서는 고양이들이 서로 부둥켜안고 그루밍해주며 같이 뛰어놀고 잘 때 꼭 붙어서 자는 모습을 많이 본다. 하지만, 간혹 동거묘 사이가 좋지 않아 매일매일 전쟁을 치러야 하는 고민이 많은 집사님들이 존재하는 것도 사실이다. 이번 로테이션 시스템은 후자의 경우(동거묘 사이가 좋지 않은 경우)에 고려해볼 수 있는 방법이다. 로테이션 시스템 시도 후 오히려 반려묘들 사이가 더 좋아지고 안정적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상기해볼 때 충분히 시도해볼 만한 가치가 있는 연구결과이다.

 

 

끝.

 

 

 

참고 문헌

Kathryn Weil, Using Rotation to Reduce Stress in Multi-Cat Situations.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Animal Behavior Consultants (IAABC) (2019). https://fall2019.iaabcjournal.org/rotation-for-cats/

Barry, KJ & Crowell-Davis, S. (1999) Gender differences in the social behavior of the neutered indoor-only domestic cat. Applied Animal Behavior Science 64:3, pp. 193-211.

Bernstein, PL & Strack, M. (1996) A Game of Cat and House: Spatial Patterns and Behavior of 14 Domestic Cats (Felis Catus) in the Home. Anthrozoös 9, pp. 25-39.

Bradshaw, JWS (2016) Sociality in cats: A comparative review. Journal of Veterinary Behavior 11, pp.113-124.

Bradshaw, JWS (2018) Normal feline behavior…. and why problem behaviors develop. Journal of Feline Medicine and Surgery 20:5.

Crowell-Davis, S., Curtis, TM & Knowles, RJ (2004) Social organization in the cat: A modern understanding. Journal of Feline Medicine and Surgery 6:1, pp.19-28.

Wassink-van der Schot, AA et al. (2016) Risk factors for behavior problems in cats presented to an Australian companion animal behavior clinic. Journal of Veterinary Behavior 14, pp. 34-40